반응형 교육, 지식, 각종 정보 관련65 메시에 천체목록, 왜 작성하였고 무엇이 기록되어 있을까? 메시에 천체목록은 천문학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프랑스의 천문학자인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가 18세기 후반에 만든 천체 목록입니다. 이 천체목록은 왜 작성하였고, 무엇이 기록되어있는지, 오늘은 메시에의 천체목록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왜 작성했을까? 메시에 천체목록은 총 110개의 천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처음에 메시에가 천체목록을 기록한 이유는 관측하는 천체들을 유성 또는 새로운 별로 오해하지 않도록 구분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메시에는 별자리를 조사하면서 우연히 유성, 혜성, 긴 기간 반짝이는 별과 같은 다양한 천체들을 발견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물체들이 항성계와는 별개의 것들임을 알아차리기까지에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래서 .. 2023. 8. 7. 태양계를 둘러싸고 있는 가상의 천체집단, 오르트 구름(Oort Cloud) 오르트구름(Oort Cloud)은 태양계를 둘러싸고 있는 가상의 천체집단입니다. 오늘은 이 신비의 오르트구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념이 너무 어려워 최대한 쉽게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오르트 구름의 개념과 특징 오르트 구름은 네덜란의 천문학자 ‘얀 오르트’가 처음 주장하였습니다. 장 주기 혜성과 비주기 혜성의 근원을 연구하면서, 태양계 바깥쪽에 구름의 형태로 천체들이 집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상의 공간이 있으며, 이곳이 혜성의 근원이 된다고 주장합니다. 오르트 구름(Oort Cloud)은 태양계 외곽에 위치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구름으로 지구로부터 약 2000 ~ 10000 천문단위(AU) 떨어진 곳에 위치합니다. 직접 관측된 적은 없으며 지구를 껍질처럼 둘러싸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 2023. 8. 5. 마젤란 은하, 우리 은하와 가장 가까운 은하 마젤란 은하는 우리 은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은하입니다. 지구에서 맨눈으로 관측 가능한 은하로, 남반구에서 뚜렷하게 관측할 수 있습니다. 그럼 마젤란 은하에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대 마젤란 은하, 소 마젤란 은하 마젤란 은하는 크게 두 개의 은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대마젤란 은하(Large Magellanic Cloud, LMC), 다른 하나는 소마젤란 은하(Small Magellanic Cloud, SMC)입니다. 우리 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 마젤란 은하는 우리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임에도 다소 생소하게 느껴집니다. 마젤란 은하들은 남반구의 하늘에 위치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는 관측할 수 없는 은하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안드로메다 은하만이 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2023. 8. 4. Trappist-1E , 골디락스존에 위치한 또 하나의 지구형 행성 Trappist-1E는 지구로부터 약 40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Trappist-1 별계의 외계 행성입니다. 쉽게 말해, 물병자리에 위치한 Trappist-1이라 불리는 별을 공전하며 돌고 있는 행성 중 하나가 Trappist-1E입니다. 암석계 행성이며, 골디락스 존에 위치한 또 하나의 지구형 행성 중 하나로, 생명의 존재 가능성이 높다고 기대되었던 행성입니다. Trappist-1 주변에는 Trappist-1E를 포함하여 총 7개의 행성이 공전하고 있습니다. 특징 Trappist-1E는 지구와 비슷한 크기를 가진 암석 행성으로, 크기는 0.91지구반경 정도입니다. 이 행성은 Trappist-1 주변을 공전하며, Trappist-1과의 거리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와 비슷합니다. 온도는 -22 정도.. 2023. 8. 3.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다음 반응형